728x90
반응형

JAVA 266

[Java] boolean type 출력하기

1. String ➡ Boolean 으로 출력하기 Boolean.parseBoolean() Boolean.valueOf() 파라미터로 입력받은 문자열이 "true"인 경우(대소문자 상관 없이), true를 리턴. 나머지는 모두 false를 리턴. System.out.println(Boolean.parseBoolean("True")); // true System.out.println(Boolean.parseBoolean("true")); // true System.out.println(Boolean.parseBoolean("")); // false System.out.println(Boolean.parseBoolean(null)); // false System.out.println(Boolean.value..

JAVA 2022.05.28

Model, ModelMap

Model, ModelMap 공통점 model.addAttribute("변수명"); modelMap.addAttribute("변수명"); 둘 다 addAttribute를 사용함 Model or ModelMap에 데이터만 저장 후 View에서 사용목적 Model, ModelMap 차이점 Model - 인터페이스 ModelMap - 클래스 Java 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test.do") public String t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Model model, ModelMap modelMap){ String modelStr = "Model Test"; String modelMapStr = "ModelMap Test"; model.a..

JAVA/SPRING 2022.05.01

[springboot][thymeleaf] thymeleaf:fragment

HTML 코드로 화면을 구현하다 보면 매 페이지마다 중복된 부분이나 정보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공통 메뉴나 정보 등을 매번 적지 않고 사용하고자 할 때 Thymeleaf에서 지원하는 도구가 Fragement 이다. 먼저 HTML파일을 만들고 Thymeleaf를 사용한다는 선언으로 html 태그에 xmlns:th="http://www.thymeleaf.org"를 추가한다. fragment로 만들고 싶은 요소의 태그에 th:fragment="이름" 을 삽입한다. 태그에 삽입한 예 .... 태그에 삽입한 예 © 2020 BGSMM th:replace="[파일 경로 :: 조각 이름]" -- thymeleaf header will be inserted here. ........................ t..

JAVA/SPRINGBOOT 2022.04.25

new() 와 getInstance()의 차이

new () 는 일반적인 객체 생성법으로 계속해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getInstance()는 싱클톤 패턴을 적용한 객체 생성법으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져 있는 객체의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생성자를 private 접근제한으로 선언하고, 자신의 유일한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를 선언하는 것이다. 최초 호출시 JVM에 static하게 생성하며, 메모리 낭비를 최소화 한다.

JAVA 2022.04.10

[SPRI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RestController는 @Controller + @ResponseBody 의 기능을 한다. @Controller의 역할은 Model 객체를 만들어 데이터를 담고 View를 반환, 클래스를 Spring MVC컨트롤러로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RestController는 단순히 객체만을 반환하고 객체 데이터는 JSON또는 XML 형식으로 HTTP응답에 담아서 전송 RESTful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특수 컨트롤러이며 모든 메서드가 뷰 대신 객체로 작성된다.

JAVA/SPRING 2022.03.29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 SOLID )

💜 SRP (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 단일 책임 원칙 🧡 OCP ( Open / Closed Principle ) - 개방 - 폐쇄 원칙 💛 LSP (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 리스코프 치환 원칙 💚 ISP (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DIP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 의존관계 역전 원칙 💜 SRP (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 단일 책임 원칙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OCP ( Open / Closed Principle ) - 개방 - 폐쇄 원칙 ➖ 소프트웨어 요소..

JAVA 2022.03.06

[JAVA] beak문, continue문, label문

break문 - break문은 반복문을 빠져 나오게 하고 반복문 내의 어떤 곳이든 위치 할 수 있다. - break문은 반복문을 한번에 하나만 빠져 나올 수 있다. ex ) int a=1; while(true){ while(true){ System.out.println("무한 반복"); if(a>=4) break; // a가 4이상이 되면 반복 문을 빠져나가게 한다. a++; // a가 1부터 시작하여 4미만이면 1씩 증가된다. } System.out.println("a가 4이상이 되면 이곳으로 빠져나온다."); break; //반복 문을 빠져 나온다. } continue문 - 반복문을 빠져 나가지 않고 반복문의 조건부로 실행위치를 옮긴다. - continue이후에 실행문들은 실행이 되지 않는다. ex)..

JAVA 2022.03.05

내부 클래스 ( inner class )

내부 클래스란? - 클래스 안의 클래스 내부 클래스의 장점 - 내부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의 멤버들을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 캡슐화 ) 내부 클래스의 제어자와 접근성 - 내부 클래스의 제어자는 변수에 사용 가능한 제어자와 동일하게 public/ (default)/ protected / private 다 사용가능. - static클래스만 static멤버를 정의 할 수 있다. ( 상수인경우 ( final static ) 에만 허용 ) : static멤버는 객체 생성없이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클래스가 인스턴스클래스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 성해야지만 안에 있는 멤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순이 일어난다. - static 내부 클래스에서는 외부 클래스의 인..

JAVA 2022.03.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