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JAVA 266

println 과 printf

1. 형식화 된 출력 - printf() - println()의 단점 : 출력 형식 지정 불가 - 실수의 자리수 조절 불가 ( 소수점 n 자리 까지 출력하기 ) - 10진수로만 출력된다. - printf()로 출력형식 지정가능 ex ) System.out.printf ( "%.2f", 10.0 / 3 ); // 3.33 (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 ) System.out.printf ( "%.d", 0x1A ); // 26 ( 10진수로 출력 ) System.out.printf ( "%.X", 0x1A ); // 1A ( 16진수로 출력 ) 2. printf()의 지시자

JAVA 2022.02.09

타입 간의 변환 방법

1. 문자와 숫자 간의 변환 숫자 - > 문자 ex) 3 + '0' => '3' 문자 -> 숫자 ex) '3' - '0' => 3 2. 문자열로 변환 : "" ( 빈 문자열 ) 더해줌. 숫자 -> 문자열 ex) 3 + "" => "3" 문자 -> 문자열 ex) '3' + "" => "3" 3.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 함수 사용 정수로 변환 ex) Integer.parseInt( "3" ) => 3 실수로 변환 ex) Double.parseDouble( "3.4" ) => 3.4 4.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 charAt() 함수 사용 ex) "3".charAt(0) => '3'

JAVA 2022.02.08

형 변환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 타입 ) 피연산자 ex ) double d = 85.4; int score = ( int ) d; // int score = 85; 자동 형 변환 형 변환을 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두 타입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형 변환을 생략하면 컴파일러가 알아서 기존의 값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타입으로 자동 형 변환을 한다. 표현 범위가 좁은 타입에서 넓은 타입으로 형 변환하는 경우에는 값 손실이 없으므로 둘 중에 표현 범위가 넓은 쪽으로 형변환 된다. long 형은 8byte고 float는 4byte이지만 표현범위는 float이 더 넓어서 ( long형은 10^19 < float형은 10^38 ) long형에서 float형으로 자동 형변환이 가..

JAVA 2022.02.08

변수 ( Variable )

1. 변수란? - 하나의 값을 저장 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 하나의 값만 저장되므로 다른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삭제된다. ) - 메모리는 1byte단위로 각각 메모리 공간마다 연속적인 숫자로 메모리 주소를 갖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여 사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이름을 지정해서 주소대신 이름을 이용하여 메모리 안의 값을 전하고 읽는다. 2. 변수의 선언 - 변수의 선언 이유 : 값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 선언 방법 : 변수타입 변수이름; ex) int age; // 정수 (int)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3. 변수에 값 저장 - 변수에 값 저장하기 ex) int age; age = 25; // 변수 age에 25를 저장 '='는 등호가 아닌 대입 int age =..

JAVA 2022.02.08

자바의 특징

- ( C++에비해 ) 배우기 쉬운 객체지향 언어 - 자동 메모리 관리 : GC ( Garbage Collector ) *가비지 콜렉터란? - Garvage는 '정리 되지 않은 메모리',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 주소'를 말한다. 주소를 잃어버려서 사용할 수 없는 값들, 앞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객체가 포함된다. Garvage Collector는 메모리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시스템에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동적 할당된 메모리 블럭(Garvage)을 찾아 자동으로 다시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회수하는 것이다. - 멀티 쓰레드 ( Multi Thread )지원 *멀티 쓰레드란? - 하나의 프로세스를 다수의 실행 단위로 구분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자원의 생성과 관리의 중복성을 최소화하여 수행능력..

JAVA 2022.02.07

[JAVA] 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 UUID란 범용 고유 식별자라는 뜻. -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성이 보장되는 id를 만들기 위한 표준 규약이다. : 중앙관리시스템이 있는 환경이라면 각 세션에 일련번호를 부여해줌으로서 유일성을 보장해 줄 수 있겠지만 중앙에서 관리되지 않는 분산환경이라면 중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생하였다. - UUID 버전은 1, 3, 4 및 5가 있다. 이 중 많이 쓰이는 것은 버전 1과 4이다. 버전 1은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생성되며, 버전 4는 랜덤 생성이다. 버전 3, 5는 각각 MD5, SHA-1 해쉬를 이용해 생성하는 방식이다. randomUUID()로 사용하면 된다. ( 4버전) 랜덤생성이지만 32자리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것은 매우 매우 매우 희박하다고 한다. - 세션 아이디를 발급해야 할 때..

JAVA 2022.02.04

[JSP] HttpServletRequest

웹 브라우저 사용자인 클라이언트로 부터 서버로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HttpServletRequest를 생성,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을 돌려줄 HttpServletResponse를 생성 ( 빈 객체 ) 생성된 것들을 요청정보에 있는 패스로 매핑된 서블릿에게 전달. 전달받은 내용들을 파라미터로 Get / Post 형식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HttpServletRequest를 사용하면 정보를 컨트롤러로 보냈을 때 HttpServletRequest 객체 안에 모든 데이터들이 들어간다. getParameter()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꺼낸다. ( getParameter()의 반환타입은 String ) Model객체에 값을 담아서 보내면 jsp에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예를 보고 이해가 되..

JAVA 2022.02.01

[JAVA]기본형과 참조형의 종류 및 차이

기본형(Primitive type) : - 기본형 데이터는 값을 그대로 할당하는 것. - 메모리 내에 고정된 크기로 저장되면서, 원시 데이터 값 자체를 보관, 불변적 기본적으로 데이터는 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한다.(재사용) - 메모리에 이름과 데이터를 같이 보관 , 데이터 한건 - 종류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 문자형 ( char ) 논리형 ( boolean ) 참조형(Reference Type) : - 참조형은 기본형 데이터의 집합 - 참조형 데이터는 값이 지정된 주소의 값을 할당한다.

JAVA 2022.01.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