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Front/JS & jQuery 454

[javascript] Promise

https://imswengineer.tistory.com/118 [javascript] 비동기 처리 동기식 (Synchronous) 먼저 시작된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시작하지 않고 기다렸다가 다 끝나면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는 작업 방식. 작업이 직렬로 배치되어 실행, 작업 실행의 순 imswengineer.tistory.com https://imswengineer.tistory.com/119 [javascript] 콜백함수 콜백함수란? 콜백함수는 다른 함수에 매겨변수로 넘겨준 함수를 말한다. 함수를 파라미터로 받아서 함수안에서 또 다른 함수를 실행한다. 파라미터로 함수를 넘겨 받은 함수가 먼저 실행이 되 imswengineer.tistory.com 콜백함수를 여러번 중첩해서 사용하게 ..

Front/JS & jQuery 2022.04.18

[javascript] 콜백함수

콜백함수란? 콜백함수는 다른 함수에 매겨변수로 넘겨준 함수를 말한다. 함수를 파라미터로 받아서 함수안에서 또 다른 함수를 실행한다. 파라미터로 함수를 넘겨 받은 함수가 먼저 실행이 되고 나중에 파라미터로 넘어온 함수가 호출된다는 것에서 콜백Callback)함수라고 한다. 콜백함수는 필요에 따라 즉시 실행할수도 나중에 실행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로 넘길 때 함수의 이름만 넘겨주면 된다. 예 ) function add(x, callback) {let sum = x + x; console.log(sum); callback(sum); } 출처 : https://inpa.tistory.com/entry/JS-%F0%9F%93%9A-%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

Front/JS & jQuery 2022.04.17

[javascript] 비동기 처리

동기식 (Synchronous) 먼저 시작된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시작하지 않고 기다렸다가 다 끝나면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는 작업 방식. 작업이 직렬로 배치되어 실행, 작업 실행의 순서가 확실함 비동기식 (Asynchronous) 동기식 방식과 다르게 먼저 시작된 작업의 완료여부와 상관없이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는 방식. 작업이 병렬로 배치되어 실행, 작업의 순서가 확실하지 않아 나중에 시작한 작업이 먼저 끝나는 경우도 발생.

Front/JS & jQuery 2022.04.17

[javascript] console 창에 undefined data

console.log로 식을 입력 후, 결과값이 undefined 가 뜨는 경우, ➡️ 반환한 결과값이 없을 때 console.log는 어떠한 값이 보이도록 출력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반환할 값이 없을 때 undefined 가 뜬다. + undefined와 null 의 차이 undefined는 아무런 값이 담기지 않은 상태 → 자료형도 undefined로 나온다. null은 null이라는 값이 담긴 상태 → 자료형이 object로 나온다. 🔸undefined == null ➡️ true → 빈 값이라는 것은 같으므로 true 🔸undefined === null ➡️ false → 자료형은 다르므로 false

Front/JS & jQuery 2022.04.15

[javascript] 자료형 확인 함수

오늘 코드 테스트를 하면서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생김 ! ✅ 숫자인지 아닌지 : isNaN(); 문자열 타입('123', "123") 이든 숫자( 123 ) 타입이든 숫자가 입력되면 false를 리턴, 이걸 몰라서 "숫자" 이런 리턴값이라 String타입이었는데 false를 출력하길래 숫자인줄 알았다. + 또 false를 리턴하는 경우 : 빈 문자열('', "", null), true, false, [] (배열), new Date() ✅ 타입유형 반환하는 함수: typeof(); 그래서 typeof();를 쓰니까 String 이라고 나왔다. 반환되는 값 🔸undefined : 변수가 정의되지 않거나 값이 없을 때 🔸number : 데이터 타입이 수일 때 🔸string : 데이터 타입이 문..

Front/JS & jQuery 2022.04.14

[datatables] $.fn.dataTable.tables()

$.fn.dataTable.tables() : 페이지의 모든 DataTables 인스턴스를 가져온다. 예 ) $('a[data-toggle="tab"]').on('shown.bs.tab', function (e) { $.fn.dataTable .tables( { visible: true, api: true } ) .columns.adjust(); }) ➡️ 부트스트랩에서 탭으로 테이블이 전환될 때 열 너비 조정. 매개변수 1. visible ( boolean type ) : default 는 false, : true면 보이는 테이블만 반환, false면 모든 테이블을 반환. 2. api ( boolean type ) : true면 선택한 테이블에 대한 인스턴스 반환

Front/JS & jQuery 2022.04.12

[javascript] ' == ' 와 ' === '의 차이

== ➡️ Equal Operator ( 동등 연산자 ) a==b 라고 할 때, a와 b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값만 같으면 된다. === ➡️ Strict Equal Operator ( 엄격한 동등 연산자 ) a===b 라고 할 때, a와 b의 값과 Data Type이 모두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값과 Data Type까지 같아야 한다. 1️⃣기본 자료형 javascript는 기본자료형인 숫자, 문자 모두 ==, ===를 이용하여 동등 비교 연산이 가능하다. 2️⃣null / undefined 둘다 값이 없음을 뜻하기 때문에 null == undefined 는 true 이지만 Data Type은 달라서 null..

Front/JS & jQuery 2022.04.07

[javascript] e.preventDefault();

e. 은 이벤트 객체를 말한다. preventDefault()를 사용하면 태그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동작들을 중단시킨다. 예를 들어 a 태그는 href 로 설정된 주소로 이동을하게되고, submit 태그는 form안에 input 을 전송하고 페이지를 reload한다. $("a").click(function(e){ e.preventDefault(); alert("e.preventDefault()");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href 주소로 이동하지 않고 경고창에 e.preventDefault() 이 뜬다.

Front/JS & jQuery 2022.04.06
728x90
반응형